본문 바로가기

발자국/부산 경남

하동 이명산. 2025.03.20

▶ 황토재 - 시루봉(계봉) - 이명산(상사봉) - 석불사지 - 마애석조여래좌상 - 시루떡바위 - 수련원 - 이병주문학관.

 

    * 봄맞이 산행에 좋은 부드러운 능선길과 기묘한 바위지대를 간직한 두얼굴의 하동 이명산 산행.

    * 거리 및 소요시간 : 8.95km / 3시간 24분 소요 (휴식 30분 포함)

 

 

 

 

 

 

 

 

 

 

 

 

 

이병주문학관 앞 주차장에 차량 주차

바로앞 이병주문학관

 

 

 

 

이병주문학관

 

 

 

 

주차장 우측으로 보이는 이명산 정상

인근의 곤양개인택시(055-853-0020) 콜하여 황토재로 이동키 위해 기다리는중

 

 

 

 

 

 

                                                    ******************  택시로 황토재 이동 (요금 2만원)  *******************

 

 

 

청솔휴계소가 있는 황토재(수구재)에서 산행 시작 

 

 

 

 

청솔휴계소 버스정류장 옆으로 산길은 시작 된다

 

 

 

 

 

 

이곳에서 부터 출발, 이명산에 도착하니 정확히 6km 거리였다

 

 

 

 

 

 

 

 

 

 

 

 

 

 

하동읍 방면으로 살짝 조망이 열렸다

 

 

 

 

 

 

 

 

출발전 몸풀기운동을 할필요도 느끼지 못할만큼 부드러운 등로가 계속 된다

 

 

 

 

 

 

 

 

 

완만한 고개마루를 넘나들고

 

 

 

 

이런 능선 오르내림은 시루봉 오름길 직전까지 이어진다 

 

 

 

 

멀리 나뭇가지 사이로 시루봉이 보이는 듯하다

 

 

 

 

고도차가 크지 않은 작은봉우리들을 넘어가고

 

 

 

 

 

 

 

 

 

 

 

 

 

 

 

 

 

 

 

 

 

 

 

 

 

 

 

 

 

 

 

 

앞 476봉(삼각점봉)에 가까이 왔다 

 

 

 

 

삼각점봉 오름길은 제법 길게 올려친다

 

 

 

 

476봉(삼각점봉)

 

 

 

 

 

 

 

 

 

오래된 표지목의 거리가 잘못 표기 되어 있다, 황토재에서 이곳 까지 3.3km, 시루봉 까진 4,2km 가량 되는 거리다.

잠시 돌의자에 앉아 쉬어 간다.

 

 

 

 

잠시더 진행하니 전면에 시루봉이 조망 된다

 

 

 

 

시루봉 오름길은 철쭉밭이 길게 이어진다, 5월경에 오면 볼만 하겠다

 

 

 

 

 

 

 

 

 

시루봉 정상부

 

 

 

 

편백숲 방면 하산로

 

 

 

 

시루봉은 달구봉, 계봉 등 여러이름으로 불린다

 

 

 

 

 

 

시루봉에서 커피 한잔하고 주변 경관 조망하며 . . . 잠시 쉬어 간다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니 독수리들이 제고향으로 떠날 채비를 하는 갑다

 

 

 

 

 

 

 

 

지나온 능선 방면

 

 

 

 

 

 

 

 

지능선상에 위치한 510봉

 

 

 

 

퍼온 사진

맑은 날엔 지리주능선이 선명히 조망 되는 전망 맛집 시루봉인데 . . .

 

 

 

 

오늘의 시계는 기온상승으로 인한 연무에 미세먼지 까지 . . .  많이 아쉬운 날씨다

 

 

 

 

하동 금오산

 

 

 

 

앞바다 건너 남해군의 산군이 펼쳐져 있는데 오늘은 영~ 파이고 . . .

 

 

 

 

 

 

 

 

 

 

이명산 주능선

 

 

 

 

앞 491봉, 뒤 이명산 정상

이명산 까지 된비알 오르내리막길이 예상 된다

 

 

 

하산길에 들릴 석불사지를 당겨 본다

 

 

 

이명산

 

 

 

 

멀리서 흰연기가 올라와 자세히 보니 하동군 옥종면 산기슼에서 산불이 났다

 

 

 

하루 지난 다음날 뉴스에 안나온걸 보니 산불은 잘 진화한 모양이다

 

 

 

 

 

표지목의 거리는 참고만 하자

 

 

 

 

여태 온 능선길과 다르게 시루봉 하산길은 급비탈 내리막길로 한참을 내려 선다

 

 

 

 

안부에서 다시 491봉 오름길로

 

 

 

 

 

 

 

 

 

491봉 정상부는 완만한 능선길이다

 

 

 

 

 

 

 

 

 

이명산 안부인 뽈당고개 까지 또 한참을 내려선다

 

 

 

 

뽈당고개를 지나고

 

 

 

 

 

마지막 오름길을 쭉쭉 치고 오른다

 

 

 

 

 

 

 

 

 

 

삼거리 이정표를 지난다, 정상을 왕복한후 마애불로 내려설 것이다

 

 

 

 

 

 

 

 

 

 

돌탑지대 까지 급비탈을 치고 오른후

 

 

 

 

돌탑지대 부터 정상 까진 완만한 오름길이고

 

 

 

 

 

 

 

 

 

3개의 정상석이 있는 이명산 정상부

 

 

 

 

이명산 상사봉 (570m)

 

 

 

 

 

 

 

 

 

 

 

 

 

 

이명산 상사봉의 조망은 시루봉에 비해 약간 답답하다

 

 

 

 

 

 

 

 

 

진주시내

 

 

 

 

산불은 여전하고 . . . 잠시후 소방헬기가 분주히 날아들었다

 

 

 

 

 

이제 하산 시작

 

 

 

 

삼거리를 지나고

 

 

 

 

급비탈 하산길로 한참을 내려서면

 

 

 

 

이명산의 볼거리가 몰려 있는 바위지대에 들어선다

 

 

 

 

암릉 좌측으로 석불사지, 우측에 마애석조여래좌상이 위치 한다

 

 

 

 

 

먼저 좌측 석불사지로 내려섰다, 작은 암자가 있었을 만한 부지이다

 

 

 

 

 

 

 

 

 

맞은편으로 시루봉이 조망 되고

 

 

 

 

 

주변에 산재한 특이한 바위지대가 볼거리를 제공 한다

 

 

 

 

 

 

 

 

 

특이하게 아래 부분에 '고세대(高世臺)'라는 한자가 각인 되어 있다

 

 

 

시계방향으로 삥 둘러 가보면

 

 

 

 

 

마애불이 나온다

 

 

 

 

 

 

 

 

 

 

 

 

 

 

 

 

 

 

 

 

 

 

이곳에서 쉼터 방면이나 수련원 방면 모두 이병주문학관으로 향하는 1005번 지방도로 내려설수 있으나, 길이 더 뚜렸한 수련원 방면으로 진행 한다

 

 

 

 

 

 

 

 

 

수련원 방면으로 마애불 바로 아래 지점에 시루떡바위가 있다

 

 

 

 

 

시루떡바위

 

[ 양보면과 북천면, 사천시 곤양면의 경계에 있는 이명산(理明山)은 지리산의 한 줄기로 높이에 비해 산세가 우람하고 기암괴석들이 산재해 있다. 화강암에 나타나는 수평 절리를 따라 균열이 발달함으로써 암석이 층층이 쌓인 모습이 떡처럼 보여 ‘시루떡바위’로 유명해진 바위의 벽면에는 가로로 ‘고세대(高世臺)’라는 큰 글자가 새겨져 있다. 바위 아래에 몇 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이들은 일제 강점기에 나라 잃은 슬픔을 달래기 위해 이곳에 모여 시와 창을 즐겼다고 한다. 또한 이명산에 있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28호인 ‘석불사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인 ‘마애석조여래좌상’은 이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말해준다.]

 

 

사진 보다 훨씬 크고 신비롭다

 

 

 

 

외계에서 온 우주선 같기도 . . .

 

 

 

 

 

 

 

 

 

 

 

 

 

시루떡바위 지나 바로 아래 또다른 기암이 기다리고 있다

 

 

 

 

중앙 아래는 누군가 석굴을 쌓아 올렸고, 좌측 바위 형상은 산도깨비 면상이다

 

 

 

 

 

 

 

 

 

 

바위지대를 지나 급하게 내려서면

 

 

 

 

수련원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선다

 

 

 

수련원 까지 500여m 내려서야 한다

 

 

 

 

 

 

 

 

 

 

임도에 들어서고

 

 

 

 

한때는 번성했을 만한 폐식당을 지나간다

 

 

 

 

 

 

 

 

수련원 부지 바로 아래 1005번 지방도가 지난다

 

 

 

 

산행은 종료 되고 도로 따라 1.3km 거리의 이병주문학관으로 진행

 

 

 

 

 

 

 

 

 

 

 

 

 

 

 

 

 

 

 

 

 

 

 

 

오늘 산행중 처음 맞이하는 꽃은 어여쁜 매화 로다 

 

 

 

 

 

 

 

 

 

 

 

 

 

 

이병주문학관에서 하동 이명산 산행 종료!!